[DB] DB 선택 가이드
서론 요즘 DB가 엄청 많아지는 바람에 어떤 프로젝트에는 어떤 DB가 잘 맞는지 잘 모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오늘은 DB 선택 가이드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다. 사실 DB 선택 가이드라고 거창하게 말하긴 했지만 실제로는 프로젝트에 맞는 DB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각 DB의 장단점을 풀어놓는 것에 불과하다. 그럼 시작하겠다. DB의 종류 D...
서론 요즘 DB가 엄청 많아지는 바람에 어떤 프로젝트에는 어떤 DB가 잘 맞는지 잘 모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오늘은 DB 선택 가이드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다. 사실 DB 선택 가이드라고 거창하게 말하긴 했지만 실제로는 프로젝트에 맞는 DB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각 DB의 장단점을 풀어놓는 것에 불과하다. 그럼 시작하겠다. DB의 종류 D...
JSTL이란? JSTL 이란 JavaServer Pages Standard Tag Library 의 약어로, Java 코드를 바로 사용하지 않고 HTML 태그 형태로 직관적인 코딩을 지원하는 라이브러리이다. 일반적으로 HTML 태그만으로는 Java의 forEach 문과 같은 반복문을 사용할 수 없는데, JSTL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면 HTML 태그 ...
찾게 된 계기 나는 항상 개인 프로젝트의 Commit Message를 대충 지어오곤 했다. 그러던 중 “나중에 회사에 들어가게 되면 많은 양의 Commit Message를 남기게 될텐데.. 처음부터 정리가 안된다면 나중에 감당이 가능할까?”라는 마음에서 찾아보기 시작했다. 이제 흔히 말하는 “좋은 커밋 메세지”를 작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구조 ...
Github Pages 기반으로 운영되는 블로그들은 Tistory나 Velog처럼 방문자 수 통계가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글을 통해 Google Analytics (이하 “GA”)를 Github 블로그에 연동시켜 방문자 수 통계 기능을 추가할 것이다. 설정 방법 진짜 별거 없는데 빠르게 설명해주겠다. 1. 측정 ID 확인 GA를 ...
“코테 준비해야지…” 대학생때부터 가져온 생각이다.. 이전에 코테 준비할 때에는 백준으로 많이 준비했었는데 요즘은 주변에서 LeetCode를 선호하는 추세라고 많이 들려온다. 그래서 “LeetHub”를 준비했다. 이 친구는 LeetCode의 문제를 성공적으로 풀어낸다면 나의 깃헙 Repo에 풀이를 커밋해준다. 완전 럭키비키하자너.. 🛠 설정 방법 🛠...
우리는 이 글을 읽음으로써 더 이상 Jekyll 기반의 블로그 포스팅을 할 때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찾게 된 계기 Jekyll 기반의 블로그 포스팅을 할 때 반드시 적어주어야 하는 사항들이 있다.. (title, date, categories, tag 등등) 그런데 이를 템플릿화시킨다면? 포스팅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이...